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855832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85583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박영서)은 최근 10년간 과학기술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성과를 낸 연구자 6명을 ‘지식창조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수상자는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박태관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강주환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박춘길 한양대 수학과 교수 등 이다.

KISTI는 또 국내 연구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KCI)을 이용, 최근 3년간 논문과 피인용 정보 등을 토대로 국내 과학기술 분야 학회 324개를 평가해 한국물리학회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한국식품과학회를 가장 경쟁력 있는 학회로 선정했다.

KAIST 유룡 교수는 새로운 나노물질을 합성하는 기술과 관련한 연구 논문이 후속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됐고, 김빛내리 교수는 주로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는 유전물질의 일종인 ‘마이크로 RNA’ 등에 관한 뛰어난 연구 실적을 내 수상자로 결정됐다.

또 현택환 서울대 교수는 암 진단과 치료에 적용하는 다기능 나노 의료 소재 등을 개발해 지난 2008년 한 해 동안 23억원의 기술이전료 수입을 올렸다.

올해 처음 제정된 ‘지식창조대상’은 전 세계 최상위 수준의 연구를 수행한 국내 교수 등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급에 발표한 논문이 후속 논문에 얼마나 인용됐는지를 따지는 피인용 수와 논문 수 등을 기준으로 했다.

KISTI는 오는 12월 8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릴 예정인 ‘미래연구정보포럼 2009’ 행사에서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정재필 기자 jpscoop@daejonilb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9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85
408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99
407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35
406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38
405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39
404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55
403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61
40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71
401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89
400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201
399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07
39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12
39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212
396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1
395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82
394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84
393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6
392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92
391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4
390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