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6120074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6120074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회춘 - 치매치료 가능성 열어

노화된 인간의 세포를 정상으로 ‘회춘(回春)’시키는 물질이 한국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태국(42·사진) 교수팀은 11일 바이오벤처회사 씨지케이(대표 김진환)와 공동으로 인간 노화 억제 신약후보물질 ‘CGK733’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2일자에 표지기사로 소개됐으며 실험 방법은 별도로 조만간 ‘네이처 프로토콜’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 저널은 “세포 노화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다”며 “김 교수팀은 노화를 억제하고 치매 등 노화 관련 질병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인간 표피세포의 일종(fibroblast)을 시험관에서 3개월간 길렀다.

보통 이 표피세포는 분열을 거듭하며 길쭉한 모습으로 자라는데 3개월이 지나면 노화 단계에 접어들어 분열을 멈추고 옆으로 넓게 퍼지게 된다.

연구팀은 CGK733이 세포 안에서 ATM이라는 단백질과 결합해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김 교수는 “인체는 노화가 진행되면서 주름이 생기고 피부 상처의 아무는 속도가 느려진다”며 “이번 물질을 이용해 주름제거제나 노인용 피부치료제 등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훈기 동아사이언스 기자 wolfkim@donga.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110
453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158
452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184
451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06
450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235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32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07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484
446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507
445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538
444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45
443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29
442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08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14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868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889
43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976
437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016
436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022
435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0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