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송요셉
논문 Yoseb Song*, Jongoh Shin, Yujin Jeong, Sangrak Jin, Jung-Kul Lee, Dong Rip Kim, Sun Chang Kim, Suhyung Cho, and Byung-Kwan Cho (2017) Determination of Genome and Primary Transcriptome of Syngas Fermenting Eubacterium limosum ATCC 8486. Scientific Reports, 7:13694
한줄요약 유전체 분석 및 전사 시작점 분석을 통해 이산화탄소 고정 미생물의 탄소 고정 대사경로 기작 규명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화석연료는 에너지 연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정유시 발생하는 석유화학제품도 제약, 섬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 고갈 문제 및 사용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러한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학 촉매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환경 오염물질과 촉매 재활용 불가 문제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큰 한계점 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안 기술 중, 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원하는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기술이 있습니다. 해당 방법은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한 끊임없이 다른 화합물로 변환 가능하고 도입 유전자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물질 생산이 가능합니다.

  물론 생물학적 접근으로 이산화탄소를 목표 화합물로 전환하는 것에도 많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는 이산화탄소 고정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가 부족합니다. 두번째는 해당 미생물의 전사 및 번역 정보 관련 연구가 미미 합니다. 세번째는 필요 경우 대사경로를 편집해서 효율을 증대 해야하는 데 유전체 편집 기술 개발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목표는 이산화탄소 고정 가능한 미생물의 유전체 및 전사체 기작을 이해하는 것이고 이번 논문은 그중 하나에 대한 것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고정 미생물 Eubacterium limosum의 이산화탄소 고정 기작을 이해하기 유전체를 완전 구축했습니다. 구축한 유전체 정보를 기존에 알려진 모든 이산화탄소 고정 미생물과 pan-genome 분석을 하였고, 결과 핵심 대사 경로인 Wood-Ljungdahl pathway oxidoreductase complex관련 유전자 숫자와 구조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Wood-Ljungdahl pathway를 구성하는 operonE. limosum에는 두개가 존재를 하는 데 이는 다른 미생물 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또한 해당 미생물이 operon하나를 가진 미생물보다 압도적인 성장 속도를 보입니다. 진화과정에서 operon 숫자 차이가 생긴 것이라 추측되며, 유전자 구조가 다른 미생물과 차이가 있어 대사경로 효율 차이가 존재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추가적으로 유전자 구조에 따른 전사체 차이와 전사 과정에서 존재하는 조절을 분석하기 위해 E. limosum의 전사시작점을 유전체 수준에서 규명했습니다. E. limosum의 유전체에는 총 1,458개에 전사 시작점이 존재를 하며 이 중 93개는 sRNA인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흥미롭게 이산화탄소 고정에 첫 단계인 formate dehydrogenase 유전자 전사시작점에 tungstein 반응하는 sRNA가 위치하며 tungstein 존재 여부에 따른 전사 발현 조절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Tungstein은 이산화탄소 고정 단계에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따라서 Tunstein 존재 여부에 따라 formate dehydrogenase의 작용을 조절하여 성장 과정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이산화탄소 고정 대사경로 관련 유전자들은 house keeping sigma factor에 의해서 전사가 조절되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 같이, Eubacterium limosum ATCC 8486 유전체 구축과 이산화탄소 고정 단계에서 전사시작점 규명을 통해 전사 regulation 기작을 찾은 첫 보고이며, 이와 같은 정보는 추후 유전체 편집을 통해 화합물 생산하기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연구에 사용하는 미생물은 혐기성 미생물입니다. 혐기성 미생물도 여러가지로 나뉘는데, E. limosum같은 경우 절대 혐기성 미생물로 산소에 조금만 노출되어도 생장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미생물 배양에 성공하는 데만 2년 이상이 걸렸습니다. 대학원 2년차 가을에 처음으로 배양을 성공하고 신나서 한 턱을 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그 이후가 더 힘들었지만, 제일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입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주위 사람과 discussion을 활발히 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운이 좋게도 실험실 초창기 대학원생 중 한명이였습니다. 그래서 교수님과 많은 discussion을 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개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교수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많이 발전한 것 같네요. 선후배, 동료 연구자들, 교수님과 소통을 활발하게 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좋아서 하고 있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저는 한번도 제가 똑똑해서 연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없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좋은 사람들 만나서 도움 받으면서 하루 하루 성장해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이 인터뷰를 누가 읽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와 같이 연구를 하고, discussion을 해주고, 시간을 같이 보내주신 분들에게 한번도 못했던 감사하다는 말 전하고 싶네요. 지도해 주신 조병관 교수님 감사합니다.





  1. Afia Tasnim Rahman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구용 약물 개발 필요 체내 유래 항산화 물질인 빌리루빈의 장내 흡수가 용이한 물질로의 개발 가능성 발견 활성 산소종에 대한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진 빌리루빈과 점막 부착성과 생적합성을 동시...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4
    Read More
  2. 김수현 (동물세포공학 연구실, 이균민 교수님)

    질문: CHO 세포의 모든 유전자를 확인하여 항체의약품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발견: 1. ATF7IP 및 SETDB1 유전자 발견 (후성유전 조절 관련) 2. Knock-out validation 결과 → 이중항체 생산성 2.7-fold 향상 → 단일항체 생산...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58
    Read More
  3. 구보민 (분자종양유전학 연구실, 임대식 교수님)

    질문 췌장암 발병 시 PRMT1의 역할과 그 기전이 무엇일까? PRMT1이 새로운 췌장암 환자 치료제 타깃이 될 수 있을까? 발견 췌장암 환자 및 마우스 모델에서 PRMT1이 나쁜 예후 인자(poor prognostic factor)로 작용한다. PRMT1은 췌장암 세포에서 염색질 접근...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78
    Read More
  4.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0
    Read More
  5.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76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91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13
    Read More
  8.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97
    Read More
  9. 이진형, 김보람, 김병수, 황가영, 이유진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1. 배경지식 초파리에서 GAL4-UAS system은 특정 부위에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게 해 줍니다. GAL4는 yeast transcription activator protein이고 UAS는 GAL4가 특정적으로 붙는 enhancer인데 GAL4가 있으면 UAS를 enhancer로 가지는 유전자의 전사가 ...
    Date2020.12.29 By생명과학과 Views1354
    Read More
  10. 오양균 (NYU)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배경지식 동물들은 미각 이외에도 체내에 영양분을 인지할 수 있는 신경세포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분 인지 신경세포들은 대략 60 년 전에 전기생리학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꽤 오래전에 발견 되었음에도 이들 신경세포들의 생물...
    Date2021.01.06 By생명과학과 Views1579
    Read More
  11. 김재현(감각처리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배경 지식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외부 환경에서 유입되는 다양한 감각 정보를 지각하여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합니다. 한 예로, 교통 신호등 앞에서 운전자가 붉은색 신호를 볼 경우 출발하지 않고 기다려야 하며, 푸른색 신호로 바뀔 경우 출발할 수 ...
    Date2021.08.24 By생명과학과 Views1682
    Read More
  12. 김진은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Date2021.01.07 By생명과학과 Views1985
    Read More
  13. 박기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배경 지식 RNA 전사에 관련된 연구는 그동안 RNA polymerase가 주로 이동하는 방향이자 protein-coding 유전자 발현에 해당하는 sense 전사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퀀싱 기술의 발달로, 게놈의 상당 부분에서 반대 방향의 전사, 즉 antisense 전사...
    Date2022.05.02 By생명과학과 Views2041
    Read More
  14. 송유향, 황양선 (감각처리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소마토스타틴 (SST)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좌)와 소마토스타틴 처리에 의한 시각 인지 능력 향상 효과(우)> 1. 배경지식 소마토스타틴은 시상 하부에서 뇌하수체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신경펩타이드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소마...
    Date2020.04.30 By생명과학과 Views2119
    Read More
  15. 이준혁(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배경지식과 질문 성인 뇌는 기억형성이나 무언가를 인지할 때 시냅스를 만들고 없애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시냅스가 없어지는지, 그리고 굳이 시냅스를 왜 제거하고 있는지는 잘 알려진 바가 없었습니다. 뇌의 ...
    Date2021.08.17 By생명과학과 Views2392
    Read More
  16. 서예지 (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Graphical Abstract: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를 통한 신경세포의 극성화 <그림. 2>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에 의한 액틴파 형성 및 축삭 단백질의 축적 1. 배경지식 신경세포는 발달과정동안 여러 개의 미성숙 신경 돌기를 가지...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434
    Read More
  17. 유다슬이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항체조각과 Optobody 모식도 <그림 2> 광활성화된 항체에 의한 항원의 비활성 및 기능 억제 1. 배경지식 항체는 면역반응의 핵심 물질이며 질병 치료제로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항체를 직접적인 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항체 단백질을 정제하...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03
    Read More
  18. 김경덕 (시냅스 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전시냅스 단백질PTPσ에 의한 NMDA 수용체 안정성 조절 > 1. 배경지식 시냅스는 3,000 개 이상 종류의 단백질이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 만큼 위치해야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대단히 복잡한 구조체입니다. 시냅스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두 뉴런의 신경 ...
    Date2020.03.18 By생명과학과 Views2503
    Read More
  19. 신왕용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Grin2b 점돌연변이 생쥐의 비정상적 전기생리학적 특징과 특정시기의 NMDAR 활성을 통한 이상 회복> 1. 배경지식 소단위 단백질 GluN2B를 포함하고 있는 NMDA 수용체는 시냅스 장기 약화 (Long-term depression) 등 시냅스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
    Date2020.05.29 By생명과학과 Views2505
    Read More
  20. 김종원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민감도와 특이성이 높은 표적 물질의 검출 및 분석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개는 신호 발생 물질인 효소를 나노입자나 항체에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이용하고 있으나, 화학적 결합 방법은 불안정...
    Date2017.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