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민지연
논문 Jiyoun Min*, Dongchan Yang*, Mirang Kim, Keeok Haam, Anji Yoo, Jae-Hoon Choi, Barbara U Schraml, Yong Sung Kim, Dongsup Kim and Suk-Jo Kang (2018) Inflammation induces two types of inflammatory dendritic cells in inflamed lymph nodes. Experimenta & Molecular Medicine 50, e458; doi:10.1038/emm.2017.292
한줄요약 림프절 내 염증성 수지상 세포의 종류와 기원 및 역할 규명

figure 1.jpg


figure 2.jpg

<그림. 염증반응에 의한 종류의 CD64+ 염증성 수지상 세포의 분화 역할>


1. 배경지식

   림프절(lymph node) 항원 등의 외부 침입에 대응하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조직입니다\. 림프절 내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들의 시공간적 조절은 방어 T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데 중요하며, 여기서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DC) 매우 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지상 세포의 종류와 환경에 따른 역할을 매우 다양하기에 이들을 규명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림프절 염증 환경이 수지상 세포의 아형 세포군을 어떻게 변형시키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염증 반응에 의해 염증성 수지상 세포(inflammatory DC)가 분화되며 이들은 후천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항원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저는 감염에 의한 염증 환경에서 다양한 수지상 세포 중 어느 아형 세포에 의해 면역 반응이 조절되는지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2. 질문

   리스테리아-감염 생쥐의 염증성 림프절 내에서 초기 면역 반응과 후천 면역 반응을 연결하는 수지상 세포를 밝히고 이들의 유래와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3. 발견

   본 연구에서는 리스테리아-감염 생쥐의 염증성 림프절 내에서 호염구와 단핵구의 군집 형성과 인터페론-감마 생성을 확인하고, 초기 염증반응에 의해 두 종류의 CD64+CD11c+MHCII+ 염증성 수지상 세포를 분화를 밝혔습니다. 케모카인 수용체 의존성,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성장 인자 요구 및 수지상 세포 특이적 계보 추적 등의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림프절 내 기존에 알려진 단핵구 유래 CD64+ 수지상 세포와 구분되는, 전형적인 수지상 세포 (CD64+ 전형 수지상세포로 명명) 유래한 새로운 염증성 수지상 세포를 밝혔습니다. 또한, 리스테리아 감염에 의해 유도된 제 1 형 인터페론이 CD64+ 전형 수지상세포의 분화에 필요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중요하게는, CD64 + 전형 수지상세포는 단핵구 유래 CD64 + 수지상 세포보다 T 세포 활성화능이 더 높은 반면, 후자는 높은 염증성 유전자 발현을 보였다. CD64+ 전형 수지상 세포와 단핵구 유래 CD64+ 수지상 세포 모두 CD8 T 세포에 고용량의 항원을 교차-제시 할 수 있지만, 매우 적은 용량의 향원에 대해서는 면역 복합체로써 CD64 (1Fc 감마 수용체)를 통해 CD64 전형 수지상 세포가 항원을 농축 및 교차-제시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수지상 세포에 의한 리스테리아의 섭식 작용은 항-리스테리아 항체에 의해 촉진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리스테리아 항체와 리스테리아 면역복합체를 전처리 한 CD64+ 전형 수지상 세포의 투여가 후속 리스테리아 감염으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함을 밝힘으로써, CD64+ 전형 수지상 세포가 면역 복합체를 이용하여 방어 면역 반응의 유도를 강화시킴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서로 다른 염증성 수지상 세포의 분화 유도에 있어 초기 염증 반응의 역할을 밝힌 것에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4. 후속

   이번 연구에서 밝힌 종류의 염증성 수지상 세포와 각각의 다른 수지상 세포들이 어떻게 선천 면역 반응과 후천 면역 반응을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조절하는지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소감 

   수지상 세포를 구분하는 표지 마커가 매우 다양하고, 연구자마다 이들을 구분하는 방식도 매우 다양했기에 마우스 피부 림프절 수지상 세포의 종류를 규명하는 연구를 시작할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여러 연구자들의 논문을 읽고 논문들에서 사용한 마커들을 하나씩 테스트 하며 저만의 방식으로 수지상 세포들을 구분 짓는 연구를 하기까지만 거의 2~3년이 걸린 같습니다. 실험을 하면 할수록 혼란스러울 때도 있었고, 어려워 지는 같았습니다.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수지상 세포들을 분석하던 , 염증 반응에서 CD64 발현하는, 그렇지만 기존 연구와는 다른 단핵구 유래 수지상 세포가 아닌 전형 수지상 세포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들의 역할까지 규명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반복된 실험과 분석이 너무 힘들고 지쳤었지만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좋은 연구결과를 얻게 해준 디딤돌이 되어 것이라 생각됩니다.


6. 기타

   먼저 학위 기간 동안 많은 것을 가르쳐 주시고 지칠 때마다 앞에서 끌어주시고 뒤에서 밀어주시며 지도해 주신 강석조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힘들거나 즐거운 순간 함께 실험실 생활을 해준 유리와 후배들에게도 감사합니다. 항상 뒤에서 묵묵히 응원해 가족들에게도 너무 감사합니다. 대학원이라는 곳이 학업을 단기간에 끝낼 있는 곳이 아니기에 분명 지치고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오기 마련입니다. 포기하지 않고 조금만 힘을 내어 준다면 언젠가 좋은 결과를 얻을 있을 것입니다. 파이팅 !



  1. 주재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까?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 매개인자는 무엇일까? 발견 행렬 분해기법을 기반으로 게놈 3차 구조 데이터로부터 핵체 주위 염색체 간 상호작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신규 기계학습 알고리즘 개발 스토카스틱...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0
    Read More
  2. No Image

    민광욱 박사 (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눈에서 나온 시신경 다발이 양쪽 뇌로 연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발견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동물은 두개의 눈을 가지고 인식한 외부 물체의 시각 신호를 뇌로 신호를 보내고, 뇌에서는 이 신호를 통합해 물체의 모양, 거리, 이동 방향을 파악함. 이때 ...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13
    Read More
  3. No Image

    이정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파킨슨 병에 기여하는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은 무엇일까? <발견>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과 3차원 후성유전체 기술을 접목하여 뇌 환경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후성 유전적 인자들이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4
    Read More
  4. 임소연 (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신경 조직의 유한한 세포 수는 전구세포의 분열한계 때문일까? 발견 피부나 간 등과 달리 대부분 신경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는 발달 과정에서만 생성되고 성체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음. 이는 신경조직 내 줄기세포가 분열한계에 이르러 더 이상 신규세포를...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16
    Read More
  5. 박준우 박사(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한정된 공간인 세포핵 안에서 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을 세포는 어떻게 처리할까? 발견 세포핵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전사인자 단백질인 OTX2가 세포핵 돌출 소막에 쌓여 세포질의 리소좀(lysosome)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세포 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규명...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19
    Read More
  6. 이한솔 박사 (치료 단백질 디자인 & 구조생물학 실험실, 오병하 교수님)

    질문 여러 종류의 단백질 센서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을까 발견 개발된 단백질 시스템은 마치 레고 블록처럼 사용돼 여러 다양한 단백질 센서를 용이하게 제작하는데 쓸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1
    Read More
  7. 조혜연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살아있는 생쥐 뇌에서 기억저장 뉴런(신경 세포)을 표지하고 추적,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같은 경험을 다시 할 때, 원래 존재하던 오래된 기억 뉴런이 새로운 뉴런으로 교체됨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1
    Read More
  8. 이한솔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기억 리콜 때 CA1 뉴런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학습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세포 앙상블이 있음을 확인함. 또한 이 활성 증가가 기억 리콜 때 측정한 freezing (공포 기억 리콜 인덱스)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1
    Read More
  9. 김규광 (기능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기존의 점돌연변이나 유전체 변이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암 유전체를 3차원 게놈 구조 관점에서 재 해독할 수 있을까? <발견> 암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변이가 발생하며 암 특이적 3차원 게놈 구조 변화 또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유전자가 잘못된 전...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2
    Read More
  10. 정이레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

    시냅스 강도 조절 메커니즘에 의한 기억 저장 뉴런 선택. 시냅스 발생 뉴런이 더 높은 확률로 기억 엔그램에 참여하며, 학습 직후 일부 뉴런의 시냅스 강도를 조작하면 기억은 그대로지만, 그 기억을 인코딩하는 뉴런이 변경됨.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3
    Read More
  11. 손승규 (광유전학 및 RNA 치료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질문 시냅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을까? 발견 살아있는 세포와 생쥐의 뇌에서 시냅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이미징 할 수 있는 SynapShot이라고 명명한 기술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에 다른 시냅스 관찰 기술들이 있었지만 한번 시냅스에서 ...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4
    Read More
  1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4
    Read More
  13. 김재호 박사 (생체방어 연구실, 이흥규 교수님)

    질문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가? 억제 되면 기전은 무엇인가? 발견 •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 현상을 관측했고 이에 더해 이러한 억제 효과가 장내 미생물의 특...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9
    Read More
  14. 문진우 (암 에피제네틱 연구실, 김미영 교수님)

    질문 악성 췌장암의 진행 및 전이를 유발하는 유전자와 그 기작은 무엇인가? 발견 기저형 (basal-like)의 아형을 보이는 췌장선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은 보다 공격적인 특성을 보이며, 빠른 진행과 전이 양상을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9
    Read More
  15.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0
    Read More
  16. 김찬희, 권용민 (식물학 연구실, 최길주 교수님)

    질문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고 불리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다. 파이토크롬 포토바디는 어떤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을까? 발견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는 빛에 조절되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1
    Read More
  17. 황현정, 박태림, 김형인(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연구실 공동연구)

    질문 - YTHDF2가 비정상 단백질 처리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YTHDF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은 무엇일까? 발견 정상적인 생명 활동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 형성과정은 정상적인 단백질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그 과정 중 형성되기도 한다. 비...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8. 신호철, 김유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여러 종의 암의 공통적 특징을 표적하는 범용 치료용 항암 백신 개발 필요 암 연관 섬유아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백신 전략의 암 치료 효용성 발견 종양미세환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는 암 성장 촉진 인자 및 세포외기질을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9. 장지윤, 신민경, 박주리 (RNA 유전체학 연구실, 김윤기 교수님)

    질문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단백질 합성기전은 무엇일까? - RNA 백신 개발에 응용 될 수 있을까? 발견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 원리인 central dogma는 DNA로부터 시작해 RNA, 단백질로 이어진다. 이때 최종 생산 물질인 단백질은 번역 과정...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3
    Read More
  20. 김은아, 함석진 (RNAging Lab,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질문 미토콘드리아 Krebs cycle 부산물이 개체 수준의 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Krebs cycle 효소 중 하나인 ACO-2의 knockdown이 예쁜꼬마선충에서 UPRmt을 활성화 하여 개체수준에서 선천적 면역을 강화 시킴을 발견함. ACO-2의 억...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