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윤정민
논문 Sojin An*, Jungmin Yoon*, Hanseong Kim, Ji-Joon Song, Uhn-soo Cho (2017) Structure-based nuclear import mechanism of histones H3 and H4 mediated by Kap123. eLife 2017;6;e30244
한줄요약 DNA복제시 Kap123-mediated histone H3/H4 nuclear translocation에 대한 구조-생화학적 연구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그림.jpg

우리 몸에 중요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 Histone octamer 146 base pair가 감겨 있는 nucleosome이라는 기본단위로 이루어진 chromatin 형태로 보관이 되어집니다. DNA 복제 과정에서는 DNA가 복제가 되면서 Chromatin assembly/disassembly가 활발히 이루어 질 뿐 아니라 복제된 DNA Nucleosome형태로 보관하기 위해 굉장히 많은 Histone 들이 세포질에서 만들어져서 핵 속으로 전달되어져야 하는데요. Kap123 budding yeast에서 히스톤 H3/H4를 전달해주는 주요한 Import 단백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Kap123단백질은 Histone H3 또는 H4 단백질의 N-말단 꼬리부분에 존재하는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를 인지하여 세포질에서 핵으로 전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히스톤 H3, H4모두 NLS가 존재 하기 때문에 Kap123 단백질이 히스톤의 NLS를 인지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인지하는지 또한 Kap123를 매개로 한 히스톤 전달에서 cytoplasmic H4 (K5ac K12ac)의 보존적 di-acetylation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한 풀리지 않은 생물학적 질문이 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기 위해 공동연구 하는 실험실에서는 Kap123의 구조, Kap123-H3- 그리고 H4-NLS Complex X-ray 구조를 규명하였습니다. X-ray 구조는 Kap123단백질 내에 H3 H4 NLS를 인지할 수 있는 두개의 Lysine-binding pocket이 있고 H3-NLS H4-NLS는 최소한 이 두 Lysine-binding pocekt중 하나는 공유하고 있으며 H3- 그리고 H4-NLS는 상호 배타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SPR 실험을 통해 Kap123 Lysine binding pocket에서 히스톤 binding에 중요한 잔기를 mutagenesis mutant단백질들을 만들어서 histone H3-NLS H4-NLS 의 바인딩을 측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Kap123 Lysine binding pocket이 히스톤 H3, H4-NLS와의 바인딩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증명하였을 뿐 아니라 H4 NLS peptide, H4K5K12ac peptide Kap123의 바인딩 측정을 통해 H4-NLS diacetylation (H4K5K12ac)은 오히려 Kap123와의 결합을 약하게 한다는 사실도 증명하였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저희는 cytoplasmic 히스톤 H4의 보존적 diacetylation Kap123-H4-NLS와의 결합을 약하게 함으로써 Kap123-H3-dependentH3:H4/Asf1 complex를 핵속으로 전달하는데 더 수월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Protein-Protein interaction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방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 저는 ITC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를 시도 하였으나 단백질이 매우 sensitive하고 20가지 이상의 mutant단백질을 측정하기에는 힘든 케이스였습니다. 그래서 ITC 방법을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로 바꾸자고 결정한 후 SPR기계를 가지고 있는 기관에 의뢰를 한적이 있는데, 그때 SPR로도 측정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실험이라는게 제 손을 거치지 않고 측정이 어렵다는 얘기만으로는 포기할 수 없어서 SPR사용법을 GE Healthcare를 통해서 배워 certification을 얻었으며 대전에 있는 SPR기계를 검색하였습니다. 외부인에게는 쉽게 오픈하지 않는 공공기간을 검색을 통해 알 수 있었고 교수님께 부탁드려 어렵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교수님께서 SPR을 사용하실 수 있으셨기 때문에 많은 도움을 주셨고 그 이후에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조건을 잡고 한 배치에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거의 1년의 시간이 걸렸지만 포기하지 않고 여러 접근을 통하여 얻은 값진 데이터여서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첫번째는 포기하는 것도 빠른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잘 모르고 시도 한 첫 실험 결과들은 왜 이렇게 좋았던 걸까요? 저는 ITC로 처음한 실험이 잘 나왔어서 이 방법을 포기하지 못하고 1년이상을 Troubleshooting만 한 케이스인데요. 테크닉적으로는 많이 배웠지만 ITC로는 결국 실험 결과를 얻지 못한 케이스입니다. 시간이 지나서 할 수 있는 말이지만, ITC로 실험결과를 얻었으면 좋았겠지만 이 방법이 아닌 단백질 간 바인딩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조금이라도 빠른 시일 내에 바꾸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첫 시도에서 좋은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이를 포기하지 못하긴 하였지만, 왜 다른방법으로 눈을 돌릴 생각을 하지 못했을까 라는 후회가 들더라구요. 이를 빠르게 판단 하는 것 또한 두려울 수는 있으나 좌절과 정체의 시간으로 빠지지 않고 self-motivation 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이 됩니다.


두번째는 교수님 혹은 실험실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라는 것입니다. 실험실에 처음 들어오면 대부분 선배들에게 배우게 됩니다. 그 선배들 또한 교수님이나 다른 선배들에게 배웠겠지요. 선배 입장에선 가르쳐 주는걸 배푼다 생각하지 말고 내가 받은걸 그대로 더 잘 알려준다 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받는 입장에서도 그걸 당연히 생각하면 안되겠지요. 저희 실험실에서는 교수님과 디스커션 하는 것이 항시 열려 있기 때문에 지혜일지는 모르겠으나 소소한 실험적 결과 뿐 아니라 실험 테크닉들을 교수님과 열린 대화를 하신다면 확실히 빠르고 정확한 방법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생명과 대학원생 모두 마찬가지이겠지만, 많은 고난의 시간과 고뇌의 시간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 실험실에 마음둘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과 함께 그 시간들을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박사 과정동안 흔들리는 마음을 잡아줄 방법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게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생명과학자라고 불리기엔 아직 많은 시간들이 필요할 것 같지만, -박사과정에 들어온 이유를 생각해 보면 대학 시절 KAIST에서 주최한 Bio-URP 3학년 여름방학때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교수님께서 저희들에게 개인 프로젝트를 주셨고 그것을 해결해 보고자 실험을 시작하였습니다. 물론 클로닝만 하다 끝이 났지만 (클로닝을 끝마치지도 못했다는….), 저에겐 굉장히 흥미롭고 재미있는 경험이였습니다. 이 후 방학마다 개별 연구를 하며 연구자의 길을 생각해 보았고 그 생각이 이어져서 졸업과 동시에 대학원 진학하였습니다. 진학 한 이후에는 Biological question을 가지고 이에 대답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모색하는 배움의 길을 걸어왔습니다. 물론 큰 그림과 꿈을 가지고 생명과학자가 되려는 이유가 있었으면 더 좋았겠지만, 저는 경우 중요한 결정을 하는 시기에 제가 가진 흥미와 관심이 이끄는 곳으로 따라왔던 것 같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대학원 면접때 저희 교수님께서 대학원은 힘든 곳이다 왜 오려고 하는가?’ 라는 질문을 하셨던게 힘들때면 항상 생각이 납니다. 대학원은 사람때문에, 결과 때문에, 미래 때문에 힘들지 않을 수 없는 곳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실험하고 일하고 규칙적,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이 나에게 재미를 주는지 생각해보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쉬울 것 같습니다. 저는 이런 일들이 힘이 들긴 했지만 제가 감당할 수 있고 재미있었기에 있을 수 있었지만 이게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면 언제든 그만두고 다른 일을 알아보는 것이 본인의 삶에서 더 현명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본인 삶의 주인공은 본인이며 책임도 본인이 져야 하니까요. 그만둔다는 것에 너무 두려움을 느끼지 않기를 앞으로 새로운 선택을 할 제 자신과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에게 바래 봅니다 (물론 책임감도 잃지 않는 선에서요!).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항상 힘이 되어준 실험실 사람들과 교수님 부모님 그리고 남편에게 감사와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1. No Image

    민광욱 박사 (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눈에서 나온 시신경 다발이 양쪽 뇌로 연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발견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동물은 두개의 눈을 가지고 인식한 외부 물체의 시각 신호를 뇌로 신호를 보내고, 뇌에서는 이 신호를 통합해 물체의 모양, 거리, 이동 방향을 파악함. 이때 ...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17
    Read More
  2. 주재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까?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 매개인자는 무엇일까? 발견 행렬 분해기법을 기반으로 게놈 3차 구조 데이터로부터 핵체 주위 염색체 간 상호작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신규 기계학습 알고리즘 개발 스토카스틱...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8
    Read More
  3. No Image

    이정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파킨슨 병에 기여하는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은 무엇일까? <발견>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과 3차원 후성유전체 기술을 접목하여 뇌 환경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후성 유전적 인자들이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8
    Read More
  4. 박준우 박사(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한정된 공간인 세포핵 안에서 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을 세포는 어떻게 처리할까? 발견 세포핵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전사인자 단백질인 OTX2가 세포핵 돌출 소막에 쌓여 세포질의 리소좀(lysosome)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세포 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규명...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6
    Read More
  5. 임소연 (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신경 조직의 유한한 세포 수는 전구세포의 분열한계 때문일까? 발견 피부나 간 등과 달리 대부분 신경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는 발달 과정에서만 생성되고 성체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음. 이는 신경조직 내 줄기세포가 분열한계에 이르러 더 이상 신규세포를...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6
    Read More
  6. 이한솔 박사 (치료 단백질 디자인 & 구조생물학 실험실, 오병하 교수님)

    질문 여러 종류의 단백질 센서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을까 발견 개발된 단백질 시스템은 마치 레고 블록처럼 사용돼 여러 다양한 단백질 센서를 용이하게 제작하는데 쓸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7
    Read More
  7. 조혜연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살아있는 생쥐 뇌에서 기억저장 뉴런(신경 세포)을 표지하고 추적,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같은 경험을 다시 할 때, 원래 존재하던 오래된 기억 뉴런이 새로운 뉴런으로 교체됨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7
    Read More
  8. 정이레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

    시냅스 강도 조절 메커니즘에 의한 기억 저장 뉴런 선택. 시냅스 발생 뉴런이 더 높은 확률로 기억 엔그램에 참여하며, 학습 직후 일부 뉴런의 시냅스 강도를 조작하면 기억은 그대로지만, 그 기억을 인코딩하는 뉴런이 변경됨.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8
    Read More
  9. 손승규 (광유전학 및 RNA 치료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질문 시냅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을까? 발견 살아있는 세포와 생쥐의 뇌에서 시냅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이미징 할 수 있는 SynapShot이라고 명명한 기술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에 다른 시냅스 관찰 기술들이 있었지만 한번 시냅스에서 ...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0. 김규광 (기능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기존의 점돌연변이나 유전체 변이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암 유전체를 3차원 게놈 구조 관점에서 재 해독할 수 있을까? <발견> 암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변이가 발생하며 암 특이적 3차원 게놈 구조 변화 또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유전자가 잘못된 전...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1. 이한솔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기억 리콜 때 CA1 뉴런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학습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세포 앙상블이 있음을 확인함. 또한 이 활성 증가가 기억 리콜 때 측정한 freezing (공포 기억 리콜 인덱스)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33
    Read More
  12. 김찬희, 권용민 (식물학 연구실, 최길주 교수님)

    질문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고 불리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다. 파이토크롬 포토바디는 어떤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을까? 발견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는 빛에 조절되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4
    Read More
  13.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5
    Read More
  14. 김재호 박사 (생체방어 연구실, 이흥규 교수님)

    질문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가? 억제 되면 기전은 무엇인가? 발견 •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 현상을 관측했고 이에 더해 이러한 억제 효과가 장내 미생물의 특...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6
    Read More
  15. 문진우 (암 에피제네틱 연구실, 김미영 교수님)

    질문 악성 췌장암의 진행 및 전이를 유발하는 유전자와 그 기작은 무엇인가? 발견 기저형 (basal-like)의 아형을 보이는 췌장선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은 보다 공격적인 특성을 보이며, 빠른 진행과 전이 양상을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36
    Read More
  16. 황현정, 박태림, 김형인(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연구실 공동연구)

    질문 - YTHDF2가 비정상 단백질 처리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YTHDF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은 무엇일까? 발견 정상적인 생명 활동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 형성과정은 정상적인 단백질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그 과정 중 형성되기도 한다. 비...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43
    Read More
  17. 장지윤, 신민경, 박주리 (RNA 유전체학 연구실, 김윤기 교수님)

    질문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단백질 합성기전은 무엇일까? - RNA 백신 개발에 응용 될 수 있을까? 발견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 원리인 central dogma는 DNA로부터 시작해 RNA, 단백질로 이어진다. 이때 최종 생산 물질인 단백질은 번역 과정...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46
    Read More
  18.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7
    Read More
  19. 김은아, 함석진 (RNAging Lab,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질문 미토콘드리아 Krebs cycle 부산물이 개체 수준의 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Krebs cycle 효소 중 하나인 ACO-2의 knockdown이 예쁜꼬마선충에서 UPRmt을 활성화 하여 개체수준에서 선천적 면역을 강화 시킴을 발견함. ACO-2의 억...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50
    Read More
  20. 신호철, 김유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여러 종의 암의 공통적 특징을 표적하는 범용 치료용 항암 백신 개발 필요 암 연관 섬유아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백신 전략의 암 치료 효용성 발견 종양미세환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는 암 성장 촉진 인자 및 세포외기질을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