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곽미정
논문 Mi-Jeong Kwak*, J Dongun Kim*, Hyunmin Kim, Cheolhee Kim, James W. Bowman, Seonghoon Kim, Keehyoung Joo, Jooyoung Lee, Kyeong Sik Jin, Yeon-Gil Kim, Nam Ki Lee, Jae U. Jung, Byung-Ha Oh. (2017) Architecture of the Type IV coupling protein complex of Legionella pneumophila. Nature Microbiology, 2:17114. doi: 10.1038 / nmicrobiol.2017.114. (*contributed equally)
한줄요약 레지오넬라 뉴모필라균의 독성단백질 분비 기작에 중요한 Type IV coupling protein complex의 모델 구조 규명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본 논문은 폐렴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균의 독성단백질 분비 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ype IV coupling protein complex(T4CP)의 전체 모델 구조를 규명한 논문입니다 (아래그림). 

fig1.png



레지오넬라균은 독성단백질을 숙주세포(macrophage)에 분비해 숙주세포의 vesicle trafficking system을 교란시키고 장악함으로써 그 안에서 기생할 수 있게 됩니다. 독성단백질의 분비는Type IV secretion system에 의해 일어나는데, system은 크게 레지오넬라 균의 outer membrane을 관통하는 secretion channel cytosol로부터 독성단백질을 인지하여 secretion channel로 전달해주는 coupling protein complex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4CP는 총 5개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DotL, DotN, DotM, IcmS, IcmW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DotL coupling protein며 총 3개의 domain을 가지고 있습니다.  Transmembrane domainhexamer를 이루는 AAA-ATPase domain,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C-terminal extension domain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나머지 4개의 단백질은 DotLCTE에 결합하여 안정화 및 기능 조절에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저희는 본 논문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LvgA라는 단백질이 T4CP의 새로운 component라는 것을 규명하였고, DotL CTE와 나머지 4개 단백질들을 복합체로 만들어 이것의 구조를 x-ray crystallography, SAXS, ALEX-FRET기법을 이용해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ATPase domain부분을 homology modeling 기법을 이용해 modeling하고 여기에 CTE 구조를 fitting하여 결과적으로 전체 whole T4CP model 구조를 규명 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이 복합체가 실제로 독성 단백질과 결합한다는 것을 몇 가지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고, 이 결합에 Lvg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또한 규명하였습니다.


본 논문에서 저희가 규명한 구조들은 이전까진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여러 개의 component로 이뤄진 T4CP의 구조와 mechanism은 미지의 영역이었습니다. 이번 저희 논문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실제로 같은 분야의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다양한 공동연구를 통해 T4CP가 독성 단백질을 인지하고 translocation하는 mechanism을 밝혀 궁극적으로 이 복합체를 blocking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고, 또한 유사한 system을 가지는 다른 pathogen에 대한 약물개발에도 응용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본 논문에는 5개의 crystal 구조가 실려있습니다. 보통 구조 논문에서는 crystal구조가 1~2개 실리는 편인데 저희 논문에서는 많은 crystal구조가 실린 편입니다. 저희의 target이 많은 component로 이뤄져 있는 복합체라 부분부분을 쪼개서 푸는 바람에 그런 것이기도 하지만, 이 모든 구조를 풀기 위해 저와 팀 구성원들의 수많은 노력과 여러 행운이 겹쳐 5개의 구조를 풀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중에는 20년간 구조만 해오신 저희 교수님도 본적 없었던 data를 가진 구조도 있었고, 한달 만에 생기는 crystal인데 여러 개의 crystal중 딱 하나의 data만 잘 나와서 운이 좋게 겨우 푼 구조도 있었고, 3년간 구조를 풀려고 시도 했지만 풀지 못하고 있다가 논문작업 마지막에 기적적으로 풀린 구조도 있었습니다. 지나고 나서 생각해보니 여러 행운들 뒤에는 모두의 값진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함께 고생한 팀 구성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각자가 진행하는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혼자서만 잘해서는 할 수 없는 것이 많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실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랩 구성원들과 잘 협업해야 하며,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라면 공동연구자들과의 협업도 중요합니다. 더욱 가깝게는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구성원들과, 그리고 지도교수님과의 커뮤니케이션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대학원 과정 동안 실험 테크닉과 연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배워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사람들과 얼마나 잘 협업하며 일 할 수 있을지도 연구자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을 잘 채워 나가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대학원 생활 해 나가기 바랍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중고등학교 시절 생물 과목을 배우면서 생명현상의 mechanism에 대해 더욱 깊게 알고 싶다는 욕구가 저를 생명과학의 길로 이끌었고, 생명과학을 배워나가다 보니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생명현상들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항상 즐거웠습니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주로 단백질을 많이 연구했는데 생명 유지의 일선에서 일하는 단백질에 대해 깊게 알아 나갈 수 있는 것 또한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지금까지 생명현상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되어 있지만 아직도 모르는 것이 무궁무진합니다. 생명과학자로서 이러한 미지의 영역들을 하나씩 개척해 나갈 수 있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카이스트 생명과학 과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학 할 수 있었던 것이 저에게는 행운이었습니다. 연구시설과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 원하는 연구를 진행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고, 또한 다양한 분야의 세미나가 언제나 열려있어 여러 분야에 대한 견문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모두가 연구하기 좋은 생명과학과로 발전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1. Afia Tasnim Rahman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구용 약물 개발 필요 체내 유래 항산화 물질인 빌리루빈의 장내 흡수가 용이한 물질로의 개발 가능성 발견 활성 산소종에 대한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진 빌리루빈과 점막 부착성과 생적합성을 동시...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09
    Read More
  3. 경현호, 최윤주(생체분자공학 실험실, 김학성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생명은 면역 체계라는 복잡한 방어 수단을 통해 자신을 보호합니다. 면역 체계의 핵심에는 ‘자신’과 ‘자신이 아닌 것’을 분자 단위에서 구분하는 대응 기제가 있습니다. 대조직적합성복합체(MHC; Major Histoco...
    Date2017.10.13 By생명과학과 Views5868
    Read More
  4. 곽미정 (구조생명과학 연구실, 오병하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본 논문은 폐렴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균의 독성단백질 분비 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ype IV coupling protein complex(T4CP)의 전체 모델 구조를 규명한 논문입니다 (아래그림). 레지오넬라균...
    Date2017.08.21 By생명과학과 Views6314
    Read More
  5. 구보민 (분자종양유전학 연구실, 임대식 교수님)

    질문 췌장암 발병 시 PRMT1의 역할과 그 기전이 무엇일까? PRMT1이 새로운 췌장암 환자 치료제 타깃이 될 수 있을까? 발견 췌장암 환자 및 마우스 모델에서 PRMT1이 나쁜 예후 인자(poor prognostic factor)로 작용한다. PRMT1은 췌장암 세포에서 염색질 접근...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77
    Read More
  6. 권도형 (분자세포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일반적으로 세포의 DNA는 핵내에만 존재합니다. 만약 사이토졸 내에서 DNA센서가 DNA를 인식한다면, 세포는 외부 병원균의 DNA로 인식하여 제1형 인터페론을 생성하는 면역반응을 유도합니다. 우리 세포는 사이...
    Date2017.08.21 By생명과학과 Views4393
    Read More
  7. 권도형 (분자세포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칼슘의 저장소, Apoptosis, lipid 합성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소기관으로, 에너지 상태 외에도 다양한 ion의 흐름, 외부 신호,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dynamic...
    Date2017.09.20 By생명과학과 Views9434
    Read More
  8. 김경덕 (시냅스 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전시냅스 단백질PTPσ에 의한 NMDA 수용체 안정성 조절 > 1. 배경지식 시냅스는 3,000 개 이상 종류의 단백질이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 만큼 위치해야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대단히 복잡한 구조체입니다. 시냅스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두 뉴런의 신경 ...
    Date2020.03.18 By생명과학과 Views2503
    Read More
  9. 김규광 (기능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기존의 점돌연변이나 유전체 변이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암 유전체를 3차원 게놈 구조 관점에서 재 해독할 수 있을까? <발견> 암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변이가 발생하며 암 특이적 3차원 게놈 구조 변화 또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유전자가 잘못된 전...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0. 김기정 (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연구실, 송지준 교수님)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의 구조 및 기능적 연구 > 1. 배경지식 박테리아에 널리 보존되어 있는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AdhE)는 발효과정에 관련된 효소이다.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는 두 개의 도메인,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와 알코올 탈수소효...
    Date2019.10.21 By생명과학과 Views3666
    Read More
  11. 김나연(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실험실, 허원도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Protein oligomerization is an important molecular mechanism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that control numerous cellular events. We investigated the property of cryptochrome2 (CRY2) from Arabidops...
    Date2017.11.13 By생명과학과 Views3536
    Read More
  12. 김륜희(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선 다양한 molecular process를 통해 neuronal synapse가 잘 발달 되어야 합니다. 특히나, presynapse와 postsynapse 사이의 adhesive contact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이 과정에 시냅스 ...
    Date2018.04.30 By생명과학과 Views4417
    Read More
  13. 김성수(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좌),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우)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좌),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우)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
    Date2020.02.03 By생명과학과 Views2732
    Read More
  14. 김수현 (동물세포공학 연구실, 이균민 교수님)

    질문: CHO 세포의 모든 유전자를 확인하여 항체의약품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발견: 1. ATF7IP 및 SETDB1 유전자 발견 (후성유전 조절 관련) 2. Knock-out validation 결과 → 이중항체 생산성 2.7-fold 향상 → 단일항체 생산...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58
    Read More
  15. 김은아, 함석진 (RNAging Lab,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질문 미토콘드리아 Krebs cycle 부산물이 개체 수준의 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Krebs cycle 효소 중 하나인 ACO-2의 knockdown이 예쁜꼬마선충에서 UPRmt을 활성화 하여 개체수준에서 선천적 면역을 강화 시킴을 발견함. ACO-2의 억...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50
    Read More
  16. 김재현(감각처리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배경 지식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외부 환경에서 유입되는 다양한 감각 정보를 지각하여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합니다. 한 예로, 교통 신호등 앞에서 운전자가 붉은색 신호를 볼 경우 출발하지 않고 기다려야 하며, 푸른색 신호로 바뀔 경우 출발할 수 ...
    Date2021.08.24 By생명과학과 Views1682
    Read More
  17. 김재호 박사 (생체방어 연구실, 이흥규 교수님)

    질문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가? 억제 되면 기전은 무엇인가? 발견 •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고 포도당 음료 보충을 통해 뇌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 현상을 관측했고 이에 더해 이러한 억제 효과가 장내 미생물의 특...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6
    Read More
  18. 김정진(행동 유전학 실험실, 김대수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우리 뇌 안에는 무수한 억제성 회로가 있지만, 그들의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본 연구팀은 기저핵에서 나오는 억제성 신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양한 운동 신호를 처리하는가 ...
    Date2017.10.12 By생명과학과 Views3667
    Read More
  19. 김종원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민감도와 특이성이 높은 표적 물질의 검출 및 분석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개는 신호 발생 물질인 효소를 나노입자나 항체에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이용하고 있으나, 화학적 결합 방법은 불안정...
    Date2017.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71
    Read More
  20. 김종원(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표적 특이적 유전자 전달 복합체의 구성 및 유전자 전달> 1. 배경지식 기존의 유전자 전달체는 바이러스성과 비바이러스성 전달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전달체는 높은 형질 발현율을 보이는 반면, 면역원성에 의한 안전성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Date2018.05.14 By생명과학과 Views38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